디자인워크샵

생태조경의 특성과 전망1

작성일 06-10-19 11:53

1)생태조경과 적지분석
우리나라에서 생태조경(Ecolgical Landscape Design)이라는 의미는 일찍이 70년대초부터 미국에서 시작된 Design with Nature라는 개념에서 시작된 적지분석기법(Land Suitability Analysis)을 통해서 익숙해져 왔다. 이러한 기법이 항시 대부분의 조경설계과정에 도입되기는 하였으나 형식에 그쳤기 일수 였다. 예를 들어보면 근래에 들어 단기 경제적 이윤과 입지편의성을 위주로 개발된 많은 골프장과 대규모 리조트등에서 나타난 생태계의 파괴의 실상은 이 적지분석기법이 제대로 적용,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적지분석이란 개발의 유형과 규모에 따른 상대적 생태수용력을 판단하는 기법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주로 미개발지를 대상으로 한 보존과 개발의 적지를 찾는 것이 주된 과제이다. 이러한 접근은 근래 GIS기법이 도입되면서 보다 용이하게 환경정보를 해석하고 종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설계 사례: 대규모 휴양지 및 국도립공원 용도지역지구설정등)

2) 생태조경과 생태계 복원
그리고 90년대 초부터 리우환경회의에서 채택된 지속가능한 개발(ESSD)이라는 명제가 던져진 후, 선진국의 모범적 도시 및 농촌환경을 사례로한 G7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생태조경이라는 분야는 파괴된 인간의 생활환경에서의 생태계의 복원, 생물서식공간의 조성이라는 분야로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생물종 보존에 있어서 장내 보존(in-situ conservation)이라는 의미와 연계되며 생태학을 기본으로 하여 도시계획, 건축, 토목 부문들과 함께 연구되고 있다. 이는 미국과는 달리 이미 협소한 국토공간이 전쟁이나 도시화로 인해 파괴된 상태에서 이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모범을 보인 일본과 독일이 그 주된 사례가 되고 있다. 이 분야는 환경선언 21 및 많은 환경단체의 환경운동과 함께 이제 막 시작되고 있는 상태이다.
(설계사례: 자연형 하천복원연구: 양재천, 농촌지역의 생물서식공간 조성, 도시지역 생물서식공간조성)

3)생태조경과 동식물원조성

그러나 이러한 복원의 분야이전에도 장외보존(Ex-situ Conservation)이라는 차원에서 많은 수목원, 식물원, 동물원등이 설계되었다. 이러한 공간에서는 습지식물원, 고산식물원, 사파리, 수렵원등의 조성을 위해 동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연구하여 그 서식처를 만들고 환경교육의 장으로 만드는 노력을 해 왔다고 본다. 그리고 근래에는 허브식물원 및 향토 야생식물원에 대한 관심이 많아 지면서 이러한 우리나라의 전통 야생 초화류를 전문적으로 수집하여 키우는 식물원이 많아 지고 있다. 이러한 공간은 교육의 공간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캠퍼스 공원화계획등에 포함되어 설계되기도 한다. (설계사례: 천리포 수목원, 전주 수목원, 한택 식물원, 전주 수목원, 용인 자연농원, 생태공원화를 위한 대학 캠퍼스)

4) 생태조경의 원리와 전망

이러한 종합적인 생태조경의 기본이 되는 것은 환경생태학에 관한 지식이다. 즉 야생의 동물, 식물등에 대한 지식과 애정을 기본으로 하여야 한다. (애기똥풀, 제비꽃, 앵초, 둥글레, 잠자리, 메뚜기) 그리고 이것과 관련된 서식환경에 대한 감각과 지식이 우선되어야 한다. (먹이사슬, 숙주의 개념, 천적등)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자연이 가지고 있는 수용력, 자생력, 자정능력등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전통적인 개발의 방식이 어떻게 환경을 파괴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에 따라 각종 시설의 규모, 입지를 결정하고 식물, 연못, 지형, 토양등이 조심스럽게 도입 시공되어야 한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계획과 설계의 방향은 지속가능한 환경친화적 개발이 되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는 국제적인 환경조약을 통한 규제, 지역성과 독자성을 위한 관광지 개발의 요구, 주거환경에서의 자연성을 위주로 한 주거환경의 추구, 법제도에 있어서의 환경영향평가의 강화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의 생태조경은 이제 시작단계라고 판단해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조급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1년, 10년, 20년이라는 세월을 통한 생태계의 연구가 이 설계의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생태조경을 통한 자연미의 구현을 위한 실증적인 조사와 연구가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이 생태조경의 성격이 생태학과 함께 도시계획, 환경계획, 건축계획, 토목계획등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학문간 상호교류를 위한 방안등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주민참여, 환경운동, 환경교육등과의 관련성 고려)  
 
출처 : 한국조경학회
 

Comments

그룹한

  • 회사소개
  • 사업영역/비전
  • CEO 인사말
  • 임직원소개
  • 조직구성
  • 수상경력
  • 디자인워크샵
  • 연구소 소개
  • CONTACT
top